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원어민이 정말 많이 쓰는 영어 회화 패턴 5개

by 영마랩 2023. 4. 14.
반응형

 

1. I was hoping ~

~를 했으면 해서요. (부탁 / 제안) 


현재시제 -> 직접적

과거시제 -> 간접적 (polite)

 

<누구에게 도움을 청할 때>

I hope you can help. 보다는

I was hoping you could help.

도와주셨으면 해서요.


<뒤에 따라오는 조동사도 과거로~>

I was hoping you could / would / might ~

I was hoping I could ask you a favor.

부탁하나 해도 될까 해서요.


<직장동료에게 무엇을 한번 훑어봐 달라고 부탁을 할 때>

I was hoping you could take a look at it.

한번 훑어봐 주셨으면 해서요.


Who’s going to officiate? I was kind of hoping you would.

주례는 누가 볼 건데? 네가 좀 했으면 했는데.


<데이트 신청을 할 때도>

Let’s have dinner tonight. 이렇게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보다는 

I was hoping we could have dinner tonight.

오늘 저녁에 저녁 같이 먹었으면 해서요.


I was hoping we could spend the morning together.

나는 우리가 아침을 같이 보냈으면 해서요.


I was hoping to ~ 

I was hoping to see you tomorrow morning.

내일 아침에 뵈었으면 해서요.

 

No. actually. I was hoping to talk to you.

아니요. 사실 이야기를 나눴으면 해서요.

 

I was hoping to get your advice on this.

이것에 대해서 조언을 얻었으면 해서요.

 

 

2. I think I’ll (just) ~

~할까 해.

(계획, 원함 등)을 약하게 표현하는 패턴

 

<동료가 저희와 같이 점심 같이 할래요? 라고 질문 할 때>

No, I’ll just stay.

저는 그냥 여기 있을 게요. 보다는

 

No. I think I’ll just stay.

아니요 저는 여기 있을까 해요.


<상대방의 제안을 거절 할 때도>

I’ll pass. 와 같이 확신하는 말투보다는

Sorry, but I think I’ll pass.

미안하지만 이번에는 사양을 할까 해요.


It’s cute. But I think I’ll pass this time.

귀엽다. 하지만 이번에는 사양할까 해요.


<친구가 일 끝나고 술 한잔 하자고 할 때>

No, I think I’ll just head home.

아니요, 오늘은 그냥 집에 갈까 해.


<식당에서 주문할 때도>

I think I’ll have

I think I’ll go with


I think I’ll just have a salad.

저는 샐러드로 할게요.

 

I think I’ll just have some water.

저는 물로 할게요.


I think I will (just) ~

~할까 해.

(계획, 원함 등)을 약하게 표현하는 패턴

3. I’m sure ~

분명 ~일거야. ~일거라고 난 확신해.

<누구를 안심시키거나 위로하거나 격려할 때> 많이 사용

I’m sure we’ll get there in time.

제시간에 도착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.


<프레젠테이션을 망친 것 같다고 동료가 낙심하고 있을 때>

Don’t worry. I’m sure you did great.

걱정하지 마, 분명 네가 잘했을 거라고 확신해.


Don’t say that. I’m sure you were great.

그런 말 하지 마세요. 나는 당신이 훌륭하다고 확신합니다.


<친구가 엄마 생일 선물을 샀는데 좋아하지 않을 것 같다고 걱정할 때>

I’m sure she’ll love it.

그녀가 좋아하실 거라고 확신해. / 분명 좋아하실 거야.


I’m sure he’ll understand.

분명 그가 이해해 줄 거야.


<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누군가를 위로할 때는>

I’m sure things will work out. (I promise.)

분명 상황이 좋아질 거야. / 분명 상황이 잘 풀릴 거예요.

 

Things: (주로 복수형으로 사용됨) 상황, 형편

 

Work out: (상황, 일)이 좋게 진행되다, 잘 풀리다.


I’m sure we can work something out.

분명 우리는 문제를 해결할 거야.

 

Work (something) out: 문제를 해결하다, 해결책이나 방법을 찾다, 생각해 내다.

4. I might be able to ~

~를 할 수 있을지도 몰라. (가능성을 낮춰서)

확실하진 않지만 ~를 할 수 있을지도 몰라. (못할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겨두는 패턴)

 

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약속을 해야 할 때~

I might be able to ~

(못할 수도 있다는 여지를 남겨두는 패턴)


<동료가 집에서 파티를 할 건데, 오실래요라고 질문 헸을 때>

I might be able to come.

갈 수 있을지 모르겠네.


<여기서 가능성을 더 낮춰서 표현하려면>

I think I might be able to ~


<회사에서 함께 일하는 동료가, 그 일은 언제까지 끝내 줄 수 있어요라고 질문 할 때>

I think I might be able to get it done by tomorrow. 

확실하지는 않지만, 내일까지는 끝낼 수 있을 것 같아요.


I think it’s something we might be able to accommodate.

아마 저희가 해드릴 수 있는 부분일 것 같습니다.

Accommodate: 부탁, 요구를 들어주다, 편의를 도모하다.


<상대방의 어떤 부탁을 했는데, 그 부탁을 들어줄 수 있을지 모를 때>

I think I might be able to do it.

확실하지는 않지만, 아마 할 수 있을 것 같아.


I think I might be able to swing by later.

확실하지 않지만, 이따가 들를 수 있을 것 같아요.


I might be able to swing by.

확실하지 않지만 들를 수 있을 것 같아요.


I think I might be able to help.

확실하지 않지만,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.


I might be able to ~

확실하지 않지만 ~를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. (가능성을 낮춰서 표현하는 패턴)

 


5. sorry for not ~

~를 하지 못해서 미안해요.

 

I’m sorry if I ~

I’m sorry I couldn’t ~

I’m sorry I didn’t ~

(I’m) sorry for not ~

~를 하지 못해서 미안해요.

 

<약속시간에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했을 때>

Sorry for not being here on time.

제 시간에 도착하지를 못해서 미안해요.


Bingo. I’m sorry for not remembering.

기억하지 못해서 미안해요.


<동료가 부탁을 했는데, 부탁을 들어주지 못했을 때>

Sorry for not being able to help.

도와주지 못해서 미안해요.


<고객이 부탁을 했는데, 부탁을 들어주지 못했을 때>

I’m sorry for not being able to help.

도와주지 못해서 죄송합니다.


<좀 더 격식 있게 표현하려면>

I apologize for not being able to help.

도와주지 못해서 죄송합니다.

 

I apologize for not buzzing.

미리 전화드리지 않아서 미안해요.


Sorry for not ~은

(특히) 상대가 연락을 받지 못했거나, 회신을 늦게 해 줬을 때


Sorry for not answering your call.

전화받지 못해 미안해요.


<상대방이 전화를 줬는데, 회신 전화를 못 줬을 때>

I’m sorry for not returning your call.

회신 전화를 주지 못해 미안해요.

 

Return somebody’s call: ~에게 회신 전화를 주다.

I’m sorry for not returning your call sooner.

회신 전화를 늦게 드려 죄송합니다.

 

Sooner: 더 일찍


I’m sorry for not responding sooner.

이메일 답장을 늦게 드려 죄송합니다.

 

<좀 더 캐주얼하게>

Sorry for not getting back to you sooner.

이메일 답장을 늦게 해서 미안해요.

 

I’m sorry I couldn’t ~

I’m sorry I didn’t ~

(I’m) sorry for not ~

~를 하지 못해서 미안해요.

 

반응형

댓글